- 근로계약서
작성안함
- 임금
시급 6,470원
- 총 근무일
1개월
- 일 근무시간
8시간
- 만 나이
29세
- 상시 근로자 수
2명(* 사장님 제외)
Q
일한지 5일차되는 알바생입니다같이일하는 외국인언니가있는데 이언니말을 들어보니 주휴수당도 6개월동안 못받고 일하고 4대보험도 전액 스스로 지불한듯 싶습니다 예를들어 백만원을 번다고 하면 십만원정도를 가져간다고합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듣고나서 저에게도 일어나지않으리란 보장이없었고 점장님께 여쭤봤습니다 그러나 점장님도 주휴수당 자체도 모르시고 4대보험도 백만원벌면 십만원을 가져갔다고 합니다 저는 너무 어이가없고 곧 저에게 일어날 일이라 생각하여 전무님께 전화를 해봤습니다.그러나 전무님께서 하시는 말씀이라곤 아직 대표님과 주휴수당에대해 상의해본적없다 회의하는날 말씀드려보겠다 라는말을 하셨습니다 제생각으로는 상의할 꺼리가 되지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당연히 줘야하는 급여이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알바면접볼때 실습생,연습생 이라는 말을 들어본적도없는데 이제와서 실습생 이라면서 우리가 기술을 알려주고 배운거닌까 처음에는 돈을 많이못드려요 저희가 가르치면서 일을 알려주닌까요 라는 말을 하셨습니다 저는 면접때 듣도보도 못한 실습생을 언급하시면서 돈을 보고 일하는 알바생에게 뜬금없이 돈을 많이못드려요 라는 말을 하셨습니다 저는 조금더 가깝고 진실하게 말할수있는 점장님께 전화를 드렸습니다 점장님께서는 실습생이라는 말을 전혀모르시는듯 했고 실습생기간에 급여문제는 더욱이모르는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저랑 점장님과 통화하는도중에 점장님은 저에게 잠시만 가게에 전화가와서 잠시만~이러고 가게전화를 받으셨습니다 저는 전화기를 귀에대고 점장님 통화가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처음에 점장님이 전화받자마자 네 전무님 이러시면서 저보고 이따전화줄테니 끊으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전화를 끊고 점장님 전화 올동안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기다리던 도중 점장님께 전화가왔고 갑자기 논리정연하게 앞에서는 설명못했던걸 갑자기 설명해주시기 시작했습니다 전무님이 당연히 말해줬을꺼라 짐작을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 일끝나고 다른알바 시간도 정확이 맞춰놓아서 시간상 너무 적합해서 계속하고싶은데 이런 주휴수당이니 4대보험이니 문제를 계속언급하면 저를 해고 하실것같아 더이상 말을 꺼내지못하겠습니다 저도 이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오래일을못할것같아 한달 정도일을하고 그만둘생각입니다 저는 주휴수당을 받으면서 일을 할수있을까요..??월~금:새벽6시~오후2시까지 토~일:새벽6시~오전11시까지(외국인언니가 고향가야되서 이언니 대타구해질때까지 대신해주는 형태)(아 참고로 오늘6시에 알바하는 외국인언니랑 같이 일을해야되는데 갑자기 몸이 않좋아져서 못가게 됬습니다 당연히 내일은 일하러 갈꺼고요 이번주 주휴수당받을수있을까요..??)
알바상담센터
0000.00.00 00:00:00
A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일(일하기로 약속한 날) 개근하고 그 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라면 받을 수 있습니다. 원래 소정근로일 기준이기 때문에 월~금 개근 했다면 이 시간 기준으로 주휴수당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만약 사장님이 끝내 지급하지 않으면 제대로 받지 못한 임금에 대해 노동청에 진정접수 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사업장에서는 퇴사한 근로자에게 14일 이내 임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퇴사일 기준으로 14일 이후에 진정접수가 가능합니다. 진정접수 방법은 온라인(고용노동부 홈페이지-민원마당) 또는 방문접수(관할노동지청 민원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진정접수 후 3-7일 내에 담당 감독관이 배정이 되고 사장님과 근로자에게 출석일자를 조율하여 노동청으로 출석 요청을 하실 겁니다.사건 조사의 기간은 약 한 달 정도이며, 사건에 따라 더 걸리실 수도 있습니다.만약, 진정접수 절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청소년근로권익센터에서 노무사님을 배정하여 상담 및 권리구제가 가능합니다. 노무사님과 심층 상담 후 해당 내용에 대해서 대리로 진정접수가 가능하며 진정절차에 대해서도 함께 진행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은 청소년근로권익센터(유선상담1644-3119 카카오톡상담 : id 청소년근로권익센터)를 이용 바랍니다청소년근로권익센터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공인노무사가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