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계약서
작성안함
- 임금
시급 6,030원
- 총 근무일
1개월
- 일 근무시간
4시간
- 만 나이
33세
- 상시 근로자 수
2명(* 사장님 제외)
Q
2016년 12월 1일부터 편의점 근무를 시작했습니다. 오후 6시부터 10시 / 하루 4시간 / 월~금 주5일 (주 20시간 근무)사장님과의 통화(목소리), 얼굴 일체 못봤으며 , 점주(매니저)에게 면접을 보고 지금까지 점주의 지시대로 일했습니다.원래대로 평일 1일, 2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2일 일하고4일, 12일 일할 사람이 없다며 대신 해달라고 해서 일요일 2틀도 일했습니다.최저시급 6030원을 준다고 하였고 근로계약서는 "내일 쓸까요? 내일 쓰죠 뭐" 이런식으로 해서 아직까지 근로계약서는 없습니다.출근하면 출근찍고 영수증 부착, 담배 재고 조사, 근무리스트 체크하기 인데. 이 근무리스트 체크하는것이 애매하기 그지없습니다.야간근무 하는분과 교대를 하는중에 이런 소리를 들었습니다."그거아세요? 체크리스트 12가지중 한개라도 안하면 1목 록당 200원, 2가지를 안했다고하면 400원, 이런식으로 까요. 저는 저번달에 돈 많이 못받았어요"1. 근로계약서에 꼭 들어가야 할 내용과 근로자가 챙겨야할 리스트를 알려주세요.2. 주말 하루를 일하건 이틀을 일하건 대신하여 일해줄때 평일과 같은 최저시급을 받나요? (평일에 빨간날(공휴일)은 평일시급이 맞나요?)3. 편의점 환경(한사람근무)에서도 하루4시간 주5일 = 20시간 일하면 주휴수당 필수인가요? (근로 계약서 여부 막론하고, 어떤상황을 제외하고 받나요?)4. 정산중에 2500원이 비어서 제가 돈을 대신 매꿨습니다. 혼자 일한 시간이여서 고의가 아니라 실수여도 제탓이겠거니 하고 냈는데 이것을 나쁜짓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제가 매꾸는것이 맞는건가요?5. 체크리스트 (근무중 해야할일12가지) 목록을 시시티비로 확인하고 안했을시 한 목록당 200원씩 깐다고 들었습니다. 이것이 가능한건가요?아직저는 월급을 받지않아 모르겠으나 일을 안하면 지적을하고 알려주고, 그래도 안하면 그사람을 고용하지 않는것이 타당한것같은데최저시급 6030원에서 뭐 안했으니 이번달 얼마 까서 주는게 사람이 할짓인가 싶을정도로 너무하다는 생각이 듭니다.월급에서 몇백원이던 몇천원이던 몇만원이던 적게 주는것을 편의점 일하며 뭐안해서 깠습니다 라고할때 받아들여야하나요?6. 오직 점주(매니저) 지시만 받고있는데 사장님과 전혀 커뮤니케이션이 없어도 괜찮은걸까요? 함께 근무하는 사람들에게 듣기로는 점주가무언의 압박으로 주말에 할사람이 없으니 일을 대신 해달라고 한답니다. 점주는 발주만 하고 근무자들에게는 깐깐하며 말은 그렇게 잘한다고 하네요.손님들에게는 싹싹하게 하는것같습니다. 사장님과 어떤 관계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하다 알게되었고 점주를 맡았다고 하네요.함께 근무하는 사람들이 고등학생, 그리고 전혀 꾸미지않는 씻지도않고 서비스업에 모자라 보이는 친구입니다....그래서 무시하는것 같기도한데 부당한 대우를 받는것 같아 이렇게 여쭤 봅니다.
알바상담센터
0000.00.00 00:00:00
A
1. 근로계약서에는 "임금과 그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 근로시간 / 휴일 / 연차유급휴가 / 취업의 장소와 종사해야 할 업무" 반드시 명시되어야 합니다. 성인근로자라면 근로계약서에 외에 제출해야 할 서류는 없습니다. 2.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인 경우 가산수당(연장, 야간, 휴일수당) 지급 의무가 없기 때문에 받기 어렵습니다. 3.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와 상관없이,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일(일하기로 약속한 날) 개근하고 그 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라면 받을 수 있습니다.4번과 5번. 근로자의 실수가 명백하지 않다면 근로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 근로자한테 청구할 수 없으며, 바로 임금에서 공제하는 것은 불법공제에 해당됩니다.(근로자의 실수가 명백하다면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해당 부분에 대해 청구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함)6번. 이 내용만으로는 근로기준법에 위반되는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은 청소년근로권익센터(유선상담1644-3119 카카오톡상담 : id 청소년근로권익센터)를 이용 바랍니다청소년근로권익센터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공인노무사가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고맙습니다.